키, 몸무게, 허리둘레 검사와 혈압을 측정합니다.
요단백, 요당, 케톤뇨, 혈뇨, 염증세포, 미세단백뇨 등을 알아내어 신장질환이나 종양 결석 감염 등을 조기진단 하는데 유용한 검사입니다.
일반혈액검사, 간염검사(A, B, C형), 간기능검사, 당뇨검사, 통풍, 신장기능검사, 전해질검사, 고지혈 검사, 갑상선 기능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췌장기능검사, 관절염검사, 혈액형검사, 성병검사, 빈혈검사 등을 검사합니다.
시력검사, 안압검사, 안저촬영 검사를 합니다. 안압검사는 녹내장 여부를 알아보는 검사로 21mmHg 이내가 정상입니다. 안저촬영에서는 망막질환, 백내장, 당뇨병 및 고혈압에 의한 망막 합병증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는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체표면에서 받아 기록하는 것입니다. 부정맥, 허혈성 심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심방 및 심실비대 등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심전도상의 경미한 이상이 모두 이상소견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며 심장질환의 진단에 보조적인 검사입니다.
폐활량과 환기 기능을 검사하여 기관지, 폐의 기능 이상여부를 확인합니다. 특히, 흡연자에서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조기진단, 치료방향 및 진행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양측 귀의 청력소실의 유무 및 정도를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본인이 느끼지 못하더라도 청력이 저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 또는 염증에 의하여 청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직장환경의 영향도 있습니다. 보청기 처방이나 정밀검사를 위하여 이비인후과 진료가 권장되기도 합니다.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에 대한 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체성분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체성분의 균형이 깨어졌을 때 과지방형 비만, 저근육형 비만, 단백질 부족, 무기질 부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체성분분석표의 이하, 적정, 이상의 평가와 적정범위는 표준 체중 기준입니다.
기생충 및 장관내 출혈 소견을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내시경을 통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구부까지 직접 눈으로 관찰하고, 병변이 있을 때 조직검사를 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검사 직전에 프로포폴이라는 비교적 작용시간이 짧은 약물을 정맥주사한 후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위내시경검사시 유발되는 트림, 구역, 목의 불편감, 통증을 억제하여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고 건진자가 좀 더 안정된 상태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궁경부암이란 해부학적으로 자궁과 질이 연결된 경계에 위치한 자궁경부에 생기는 암을 말합니다. 100% 완치는 아무 증상도 없을 때 조기 발견해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 담낭, 담관, 비장 및 신장 등의 질환을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사입니다.
초음파의 반사되는 정도를 촬영하여 갑상선을 관찰함으로써 갑상선의 종대유무, 결절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갑상선의 대표적 질환인 갑상선기능항진증(그레이브스병), 갑상선기능저하증(하시모토갑상선염), 갑상선 결절(혹) 등을 진단하게 됩니다. 결절이 발견된 경우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부(목)앞쪽에 위치한 경동맥 및 추골동맥이 좁아지거나 위험한 궤양 등의 병변 존재 유무와 혈류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장기간 흡연 등으로 뇌졸중 위험이 있는 경우 뇌졸중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장판막증, 심근병증 등을 진단합니다.
기관지, 폐, 늑막 및 심장질환의 진단을 위한 검사입니다. 정면(측면) 흉부를 단순촬영하여 진단하는 데 질병이 의심될 경우 CT촬영으로 추가 정밀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 여부를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골절의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운동, 약물요법 등으로 골조직의 손실을 막아 골절의 빈도를 감소 시키기 위해 측정합니다.
유방암 조기진단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검사가 유방X선 검사입니다. 유방암은 조기 발견의 경우 완치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유방X선 촬영이 필요하며 유방X선 검사에서 병변이 의심되거나 유방 조직이 치밀한 젊은 여성의 경우는 유방초음파 검사가 유용합니다.
신체조직을 통과하는 방사선의 흡수율을 컴퓨터로 분석하여 인체 내부를 단면으로 잘라 영상화한 것으로 일반 X-선상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연부 조직의 작은 차이에 의해 각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병변을 식별하는 검사이다.
① 폐(흉부) 저선량 컴퓨터 단층촬영(Chest Lowdose CT) : 폐암을 조기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폐 주변부의 작은 크기의 결절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반 컴퓨터 단층촬영
에 비해 방사선 노출정도가 낮아 폐 저선량 컴퓨터 단층촬영이라고 합니다.
② 두부(뇌) 컴퓨터 단층촬영 : 뇌암, 뇌경색, 중풍, 뇌출혈등을 조기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③ 경추(목) 컴퓨터 단층 촬영 : 경추부위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④ 요추(허리) 컴퓨터 단층 촬영 : 요추부위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인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자기적 성질을 측정하여 컴퓨터를 이용, 재구성, 영상화 함으로써 각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방사선이 아니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해상도가 뛰어나며 여러 방향의 단면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병변의 크기나 위치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① 뇌자기공명영상(Brain MRI) : 자기공명영상(MRI)의 특징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뇌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② 요추자기공명영상(L-Spine MRI) : 디스크 질환 등의 척추 질환과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입니다.
③ 슬관절(무릎관절)자기공명영상(Knee joint MRI) : 전반적인 무릎관절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④ 견관절(어깨관절)자기공명영상(Shoulder joint MRI) : 전반적인 어깨관절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⑤ 경추자기공명영상(Cervical Vertebra MRI) : 기형, 척추 측만증, 척추 후만증, 감염, 종양등의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MRA 검사는 MRI와 구별되어져 혈류에 민감한 영상기법으로 혈관 이외의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를 억제한 영상을 얻은 후 이 영상들을 투사하여 혈관만 강조된 영상을 얻는 방법으로 일반적 MRI 검사시간에 비해 단일 검사법으로는 시간이 매우 긴 편으로 영상의 수가 최소 수 십에서 수 백편으로 구성되어져 나온 것을 이용 다시 최대강도투사란 재구성법을 이용 혈관만 강조한 영상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MRA 검사의 장점은 일반적 혈관조영술의 수술적 방법을 위한 입원 등의 부담이 없고 침습성이 없어 합병증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전자 메틸화 암검사는 혈액순환 DNA의 분석을 통하여 암 예방관리부터 발생유무까지 15종의 암을 종합 스크리닝하는 분자의학 검사입니다.
-15종 암검사 종류 : 두경부/갑상선/폐/간/위/췌장/담낭/대장/방광/신장/전립선/유방/난소/자궁/피부 등
건강한 사람은 우리 몸의 체열 분포가 좌우 대칭을 이룹니다. 그러나 통증부분, 즉 아픈 곳에서는 체열이 높아지거나 낮아져서 균형이 깨집니다. 이러한 체열 변화를 촬영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신경통증부위나 질병 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해 내는 것이 바 로 적외선 체열 검사입니다.
[ 검사가 필요하신 분 ]
얼굴의 감각 이상이 있으신 분, 이유 없이 손발이 저리신 분, 어깨 통증이 있으신 분 목이 뻣뻣하고 팔 전체가 저리신 분,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당기신 분, 자주 손이나 무릎 관절이 아프신 분 교통사고 후 지속적인 후유 장애가 있으신 분, 수술이나 치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있으신 분 당뇨를 오래 앓고 계신 분(당뇨합병 손발 저림증 환자)